- 특히 최근 5년간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가 336건으로 가장 많아
- 이종배 의원, “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현장 맞춤형 위험성 평가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 필요”
[세계타임즈 = 이영진 기자] 주택관리공단이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, 최근 5년간 공공임대주택 안전사고가 증가 추세인 것으로 드러났다.
 
주택관리공단이 국민의힘 이종배 의원(충북 충주, 3선)에 제출한 ‘최근 5년간, 공공임대주택 안전사고 발생 현황’에 따르면 ▲2017년 123건 ▲2018년 152건 ▲2019년 112건 ▲2020년 158건 ▲2021년 225건으로, 5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했고, 올해도 6월까지 82건이 발생했다.
 
안전사고 사고유형별로 분석한 결과,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가 336건(43.6%)으로 가장 많았다. 이어 재해 196건(25.5%), 전기·통신 92건(11.9%), 기계·가스 52건(6.8%), 승강기 18건(2.3%), 기타 76건(9.9%)으로 분석됐다.
< 공공임대주택 안전사고 발생 현황(‘17.01. ~ ‘22.06) >
사고 유형  | 연도별 안전사고 발생 현황(건수)  | |||||
2017  | 2018  | 2019  | 2020  | 2021  | 2022.6  | |
화재  | 71  | 47  | 67  | 76  | 75  | 32  | 
재해  | 25  | 58  | 13  | 38  | 62  | 11  | 
전기‧통신  | 16  | 18  | 14  | 18  | 26  | 8  | 
기계‧가스  | 6  | 14  | 9  | 11  | 12  | 8  | 
승강기  | 2  | 1  | -  | 1  | 14  | 3  | 
기타*  | 3  | 14  | 9  | 14  | 36  | 20  | 
계  | 123  | 152  | 112  | 158  | 225  | 82  | 
*기타: 어린이놀이시설, 시설물 탈락 및 파손 등
**출처: 주택관리공단
주택관리공단에서 공공임대주택 안전사고에 대한 점검과 예방을 위해 생활안전위원회운영과 재난안전대응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, 임대주택의 시설물의 노후화와 입주민 부주의 등으로 안전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.
 
이 의원은 “공공임대주택 안전사고가 꾸준히 발생하는 가운데, 대형사고 우려가 큰 화재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”며, “주택관리공단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현장 맞춤형 위험성 평가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”고 주장했다.
[ⓒ 세계타임즈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







								













